티스토리 뷰
1. html tag
<!DOCTYPE html> //브라우저에게 HTML5 파일임을 알린다.
<html lang="en"> // HTML의 모든 내용은 HTML tag의 자식 요소로 사용한다. lang 속성을 이용하여 언어를 설정해준다
...
</html>
참고 : 언어를 표현하기 위한 약어는 ISO 639-1 을 따른다.
한국어는 kr이 아닌 ko임에 주의!
https://ko.wikipedia.org/wiki/ISO_639-1_%EC%BD%94%EB%93%9C_%EB%AA%A9%EB%A1%9D
ISO 639-1 코드 목록 - 위키백과,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
위키백과,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. ISO 639는 언어 분류를 위해 사용되는 표준화된 명명법이다. 각 언어는 2글자(639-1) 및 3글자(639-2, 639-3)로 할당된다. 어족 ISO 언어 이름 네이티브 이름 639-1 639-2/T 639-2/B 639-3 Northwest Caucasian Abkhazian аҧсуа бызшәа, аҧсшәа ab abk abk abk Afro-Asiatic Afar Afaraf aa aar aar aar In
ko.wikipedia.org
2. head tag & body tag
- html 문서에는 head tag 와 head tag는 한 번씩만 들어가야 한다.
- head tag 에는 문서의 정보가 들어간다.
- body tag 에는 문서의 구조가 들어간다.
<!DOCTYPE html>
<html lang="ko">
<head>
문서의 정보
</head>
<body>
문서의 구조
</body>
</html>
(1) head tag
- <title> : 문서의 제목
- <meta> : 기타 정보
- <style> : 스타일 직접 입력
- <link> : 외부의 파일을 연결
<!DOCTYPE html>
<html lang="ko">
<head>
<title> 문서의 제목 </title>
<meta charset="UTF-8">
<style>
body{
margin:0;
padding:0;
}
</style>
<link rel="stylesheet" href=./"main.css">
</head>
<body>
문서의 구조
</body>
</html>
3. Meta tag
https://developer.mozilla.org/ko/docs/Web/HTML/Element/meta
: 문서 레벨 메타데이터 요소
HTML meta 요소는 base, link, script, style, title과 같은 다른 메타관련 요소로 나타낼 수 없는 메타데이터를 나타냅니다.
developer.mozilla.org
(1) charset : 문자 인코딩 방식을 지정, 일반적으로 UTF-8 사용
<meta charset="UTF-8">
(2) content : http-equiv 또는 name 속성 중 어떤 것이 사용되느냐에 따라 해당 속성의 값을 갖습니다.
(3) http-equiv : HTTP 헤더의 이름을 값으로 가질 수 있다. 이 속성의 값으로 서버나 사용자 에이전트의 작동박식을 변경할 수 있는 지시를 정의 할 수 있다.
※ 인터넷 익스프럴러를 지원한다면 다음과 같은 코드를 추가해준다.
<meta http-equiv="X-UA-Compatible" content="IE=edge">
(4) name / content : 기타 정보를 담을 수 있다, name="정보의 종류" content="정보의 내용"
- author 와 description 은 작성자와 페이지의 요약을 나타낸다.
- viewport를 통하여 랜더링 할 영역을 지정하여 반응형을 지원 할 수 있다.
<meta name="author" content="coshin">
<meta name="description" content="page of coshin">
<meta name="viewport" content="width=device-width, initial-scale=1.0">
(5) base : link tag에서 연결 할 기본 폴더를 지정한다.
4. link tag
https://developer.mozilla.org/ko/docs/Web/HTML/Element/link
: 외부 리소스 연결 요소
HTML link 요소는 현재 문서와 외부 리소스의 관계를 명시합니다.
developer.mozilla.org
- link 태그는 rel속성을 필수적으로 갖는다.
- href 태그를 이용하여 절대경로/상대경로를 지정하여 연결할 파일을 지정 할 수 있다.
'컴퓨터공학 및 코딩 > HTML,CS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HTML] Block & Inline 요소 (0) | 2020.05.11 |
---|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lstm
- 알고스팟
- Mikolov
- text classification
- AI
- word2vec
- 그림자
- django
- WebProgramming
- word vector
- 로버트존슨
- 당신의 그림자가 울고 있다.
- 코딩테스트
- 융
- 텍스트분류
- Skip-gram
- 단어표현
- NLP
- Polls
- web
- 자연어처리
- Tutorial
- CBOW
- 심리학
- 코딩하는 신학생
- word embedding
- 인공지능
- 분석심리학
- 젠심
- Python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